반응형 전체 글97 이 세상에서 나 자신이 가장 중요한 보물이라는 사실! 1. 나 자신의 발견이 세상에서 오직 하나이며 유일한 존재가 자신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야 말로 축복 중에 축복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창조주의 걸작 중에 걸작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 세상의 모든 가치기준이 바뀌게 된다. 우리는 늘 내가 뭘 할 수 있을까! 내가 할 자격이 될까! 해 낼 수 있을까!라고 스스로를 열등감의 올무에 걸려있게 하는 것에 익숙해 있다. 처음에 어떤 일을 시작할 때 까마득히 높아 보이거나 어려운 곳에 우뚝 솟아 있는 표대를 쳐다보게 된다. 그리고 꼭대기에 있는 사람 또는 목표대상을 보면서 자신의 현 수준과 비교하다 보면 스스로 너무 작아지고 자신 없는 나를 발견하게 된다.2. 세상의 시작은 공평하다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은 없다. 누구나 태어나서 바닥을 기어 다니다가 일어서고 뛰고, .. 2025. 2. 27. 대한민국에 창조적이고 역동적인 경제 활동이 왜 필요한가? 1. 창조란 무엇인가? 창조란 무엇인가? 빛이 있으리라고 얘기를 할 때에 어둠이 물러가고 생명의 새싹이 돋아나는 것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한 겨울의 추위 속에서 나무가 생명의 씨앗을 품고 있다가 신록이 싹을 틔우는 봄이 되면 누가 시키지도 않았음에도 신비롭게까지 말로 형언하기 힘든 깊은 감동의 서사시를 쓰게 하는 기적과 같은 이벤트를 매번 개최하곤 한다. 푸르른 새싹이 움트는 계절이 다가오면 맘이 설레게 하고 이내 익숙해지게 된다.창조란 규칙과 규범이 있고 예측가능한 가운데, 놀랄만한 방향성과 행위로 눈이 번쩍이게 하는 자극을 주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월드컵 중계를 통해서 자국의 선수들이 일사불란하게 전략과 전술로 예측이 가능한 공격 루트를 통해서 군더더기 없이 골까지 연결되는 그림과 같은.. 2025. 2. 27. 스마트의 사용자 관점 해석은 어떻게 해야 할까? 1. 스마트의 정의스마트하다는 뜻은 무엇일까! 똑똑하다, 깔끔하다, 댄디하다, 총명하다. 지혜롭다, 천재적이다. 무엇이든 다 안다, 내가 원하는 것을 안다. 지난여름방학 때 무엇을 했는지 안다는 영화가 있었다. 학생들이 방학 휴가지에서 발생된 살인사건이 있었는데, 함께 있었던 친구들이 입을 다물고 있었지만, 누군가는 알고 있었고 흔적과 근거가 남아서 모든 것이 다 밝혀진다는 내용의 영화였다. 우리의 일상을 일거수 일수족을 누군가 모두 다 기록으로 다 남겨서다 알고 있다고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미래 공상과학 영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콘셉트이다. 사람들의 몸에 고유의 칩이 내장되어서 모든 활동을 기록으로 남겨서 통제를 하는 권력자의 악행과 불법적인 인권의 탄압을 물리치는 영웅의 얘기로 그려지기도 한다. 기.. 2025. 2. 27. 꿈 도전 실행에 나를 던져라! 자전적 에세이 글을 쓰는 이유 1. 글을 쓰게 된 동기지금까지 살아온 시간을 생각했을 때, 현재의 자신이 걸어온 길에 후회와 회한이 남는가, 아니면 정말 열심히 최선을 다하여 어린 시절 꿈을 이루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고 생각하는가? 그 질문을 나에게도 물어본다면, 후자였다고 자신 있게 얘기할 수 있다. 왜냐하면, 아쉬움은 남지만, 후회는 하지 않기 때문이다. 설사 후회가 남았다고 해도 지나간 시간을 절대 다시 되돌릴 수 없다. 나는 적어도 10대 청소년 시절의 꿈을 늘 머릿속에서 잊지 않고 살아왔다고 자부할 수 있다. 지천명의 세월을 살아오면서 지난 시간을 돌아보며 어떤 세월이 있었고, 앞으로 어떤 계획을 가지고 살아갈 것인지를 곰곰이 생각해 보게 되었다. 삶은 그 자체로 한번 상영하고 끝나는 영화 같다는 얘기를 한 번씩은 .. 2025. 2. 27. 이전 1 ··· 21 22 23 24 25 다음 반응형